6 minute read



증명에는 두 가지 type이 있다. Section 1.4에서는 몇 가지 formal proof를 소개한 바 있다. 이 증명은 logic의 rule로부터 이루어졌으므로, logic의 내부에서 일어났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증명을 internal proof라고 한다. 따라서 formal proof의 시야는 한정되어 있는데, 오직 logic 내에서 쓰여진 sentence만을 증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logic 그 자체에 대해 쓰여진 무언가를 증명하고 싶다1고 하자. Logic 스스로를 언급(state)하는 그러한 statement들은 logic 내에서는 언급될 수도, 증명될 수도 없다. 이러한 statement에는 external proof가 필요하다. External proof는 meta-mathematical이라고도 한다.


이 Section에서는 external proof의 한 방법으로 induction을 소개한다. Propositional logic의 모든 formula에 대해 성립하는 어떤 성질을 증명하고 싶다고 하자. 어떻게 그걸 ‘모든’ formula에 대해 보일 수 있을까? 모든 formula $F$를 각각 확인할 체계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앞서, 우리는 비슷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이미 알고 있다.


Mathematical Induction

수학적 귀납법은 ‘모든’ 자연수에 대한 증명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11^{n}-4^{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해 $7$로 나누어 떨어진다는 것을 보이고 싶다고 하자. 수학적 귀납법에서는 이를 두 단계로 나누어 해결한다.

$\qquad$1. $n=1$에서 statement가 참임을 보인다.

$\qquad$2. 만약 $n=m$인 어떤 자연수 $m$에 대해 statement가 성립한다면, $n=m+1$에서도 성립한다는 것을 보인다.

이 예시에서는 $n=1$일 때 $11-4=7$이므로 첫 번째 단계가 성립.

$11^{m+1}-4^{m+1}=11^{m+1}-11 \cdot 4^{m}+7 \cdot 4^{m}=11(11^{m}-4^{m})+7 \cdot 4^{m}$으로부터, $11^{m}-4^{m}$이 $7$로 나누어 떨어지면, $11^{m+1}-4^{m+1}$도 나누어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증명 끝.

Propositional logic과 관련된 수학적 귀납법의 예시는 Proposition 1.5.2부터 시작한다. 이는 De Morgan’s Rules의 일반화이다.



Notation 1.5.1

$F_{1}, \dots F_{n}$이 formula들이라고 하자.

\[\bigwedge_{i=1}^{n} F_{i} := F_{1} \wedge F_{2} \wedge \cdots \wedge F_{n}\]

\[\bigvee_{i=1}^{n} F_{i} := F_{1} \vee F_{2} \vee \cdots \vee F_{n}\]



Proposition 1.5.2

$F_{1}, \dots F_{n}$이 formula들이라고 하자.

\[\neg\Bigg(\bigwedge_{i=1}^{n} F_{i}\Bigg) \equiv \Bigg(\bigvee_{i=1}^{n} \neg F_{i}\Bigg)\quad \textrm{and}\quad\neg\Bigg(\bigvee_{i=1}^{n} F_{i}\Bigg) \equiv \Bigg(\bigwedge_{i=1}^{n} \neg F_{i}\Bigg) \]


Proof.


첫 번째부터. $n$에 대한 induction.

먼저 $n=1$을 가정,$ \neg(\bigwedge_{i=1}^{1} F_{i}) \equiv (\bigvee_{i=1}^{1} \neg F_{i})$을 보여야 한다. $``\bigwedge”$, $``\bigvee”$의 정의에 의해, 이는 $\neg (F_{1}) \equiv (\neg F_{1})$와 같고, (C1)에 의해 참.

[Induction Hypothesis] $m \geq 1$일 때, 임의의 formula $F_{1}, \dots F_{m}$에 대해

\[\neg\Bigg(\bigwedge_{i=1}^{m} F_{i}\Bigg) \equiv \Bigg(\bigvee_{i=1}^{m} \neg F_{i}\Bigg)\]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다음을 보이고자 한다.

\[\neg\Bigg(\bigwedge_{i=1}^{m+1} F_{i}\Bigg) \equiv \Bigg(\bigvee_{i=1}^{m+1} \neg F_{i}\Bigg)\]

$``\bigwedge”$의 정의에 의해,

\[\neg\Bigg(\bigwedge_{i=1}^{m+1} F_{i}\Bigg) \equiv \neg\Bigg(\Bigg(\bigwedge_{i=1}^{m} F_{i}\Bigg)\wedge F_{m+1}\Bigg)\]

De Morgan’s Rule로부터,

\[\neg\Bigg(\bigwedge_{i=1}^{m+1} F_{i}\Bigg) \equiv \Bigg(\neg\Bigg(\bigwedge_{i=1}^{m} F_{i}\Bigg)\vee \neg F_{m+1}\Bigg)\]

induction hypothesis을 우변에 대입하면,

\[\neg\Bigg(\bigwedge_{i=1}^{m+1} F_{i}\Bigg) \equiv \Bigg(\Bigg(\bigvee_{i=1}^{m} \neg F_{i}\Bigg)\vee \neg F_{m+1}\Bigg) \tag{$\dagger$} \]

마지막으로, $\bigvee$의 정의로부터,

\[\neg\Bigg(\bigwedge_{i=1}^{m+1} F_{i}\Bigg) \equiv \bigvee_{i=1}^{m+1} \neg F_{i}\]

따라서, 임의의 $n$에 대해 $ \neg(\bigwedge_{i=1}^{n} F_{i}) \equiv (\bigvee_{i=1}^{n} \neg F_{i})$가 성립한다.

두 번째 동치 명제는 첫 번째를 이용. $F_{i}$를 $\neg F_{i}$로 치환하면,

\[ \bigvee_{i=1}^{m+1} \neg \neg F_{i} \equiv \neg \Bigg( \bigwedge_{i=1}^{m+1} \neg F_{i} \Bigg)\]

두 formula가 동치이므로, negation을 취해도 동치.

\[ \neg \Bigg( \bigvee_{i=1}^{m+1} \neg \neg F_{i} \Bigg) \equiv \neg \neg \Bigg( \bigwedge_{i=1}^{m+1} \neg F_{i} \Bigg)\]

Double negation에 의해, $\neg(\bigvee_{i=1}^{n} F_{i}) \equiv (\bigwedge_{i=1}^{n} \neg F_{i})$. $\square$


이제 Distributivity도 일반화시킬 수 있다.



Proposition 1.5.3

$\{F_{1}, \dots F_{n}\}$, $\{G_{1}, \dots G_{m}\}$이 formula들의 finite set이라고 하자. 다음 equivalence가 성립한다.

\[ \Bigg( \Bigg( \bigwedge_{i=1}^{n} F_{i} \Bigg) \vee \Bigg( \bigwedge_{j=1}^{m} G_{j} \Bigg) \Bigg) \equiv \Bigg( \bigwedge_{i=1}^{n} \Bigg( \bigwedge_{j=1}^{m} (F_{i} \vee G_{j}) \Bigg) \Bigg) \]

\[ \Bigg( \Bigg( \bigvee_{i=1}^{n} F_{i} \Bigg) \wedge \Bigg( \bigvee_{j=1}^{m} G_{j} \Bigg) \Bigg) \equiv \Bigg( \bigvee_{i=1}^{n} \Bigg( \bigvee_{j=1}^{m} (F_{i} \wedge G_{j}) \Bigg) \Bigg) \]


Proof.


첫 번째 명제만 보인다. 먼저, $B=\bigwedge_{j=i}^{m} G_{j}$라고 하고, 다음 명제를 보이자.

\[\Bigg( \Bigg( \bigwedge_{i=1}^{n} F_{i} \Bigg) \vee B \Bigg) \equiv \bigwedge_{i=1}^{n} (F_{i} \vee B)\]

$n=1$일 때는 당연하게 성립하고, $\bigwedge_{i=1}^{n+1} F_{i} = (\bigwedge_{i=1}^{n} F_{i}) \wedge F_{i+1}$이므로 distributivity rule에 의해

\[ \begin{align*} \Bigg( \Bigg( \bigwedge_{i=1}^{n+1} F_{i} \Bigg) \vee B \Bigg) &\equiv \Bigg( \Bigg( \Bigg(\bigwedge_{i=1}^{n} F_{i}\Bigg) \wedge F_{n+1} \Bigg) \vee B \Bigg) \\ &\equiv \Bigg( \Bigg( \bigwedge_{i=1}^{n} F_{i} \Bigg) \vee B \Bigg) \wedge ( F_{n+1} \vee B) \\ &\equiv \Bigg(\bigwedge_{i=1}^{n} ( F_{i} \vee B)\Bigg) \wedge ( F_{n+1} \vee B) \\ &\equiv \bigwedge_{i=1}^{n+1} ( F_{i} \vee B) \end{align*}\]

위 식에서 세 번째 equivalence는 induction hypothesis를 적용한 것. 이제 다시 $B=\bigwedge_{j=i}^{m} G_{j}$로 되돌리고 $m$에 대해 수학적 귀납법을 한 번 더 사용하면 된다.


두 번째 명제는 첫 번째 명제에 $F_{i}$ 대신 $\neg F_{i}$, $G_{j}$ 대신 $\neg G_{j}$를 취하고 Proposition 1.5.2를 이용하면 끝. $\square$


한 가지, Proposition 1.5.2의 증명에서 약간 미심쩍은 부분이 있다. $(\dagger)$에서 우리는 만약 $G’ \equiv G$이면, $(G \vee F) \equiv (G’ \vee F)$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 부분은 잠시 후 Theorem 1.5.4에서 정당화된다.


Induction on the Complexity of Formulas

어떤 성질 $\mathcal{P}$가 모든 formula $F$에 대해 성립함을 보이고 싶다.

먼저, 모든 atomic formula들이 성질 $\mathcal{P}$를 가짐을 보인다. 이는 mathematical induction에서 $n=1$인 경우를 보이는 것과 대응된다. 이러한 atomic case를 induction basis로 두고, 성질 $\mathcal{P}$가 formula $G$, $H$에서 성립한다고 가정. 이것이 induction hypothesis. 우리의 목표는 성질 $\mathcal{P}$가 $\neg G$, $G \wedge H$, $G \vee H$, $G \rightarrow H$, $G \leftrightarrow H$에서도 성립하는 것을 보이는 것이다. 이것으로 $\mathcal{P}$가 모든 formula에 대해 성립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상의 과정을 induction on the complexity of $F$라고 한다.


Theorem 1.5.4 [Substitution Theorem]

$F \equiv G$라고 가정. $H$를 $F$를 subformula로 가지는 formula라고 하자.

$H$ 내에서 나타나는 $F$를 $G$로 치환해 얻어진 formula를 $H’$라고 하자. 그러면 $H \equiv H’$이다.


Proof.


$H$에 대한 induction on the complexity.

[Base step] 먼저 $H$가 atomic이라고 가정. 그러면 $H$의 모든 subformula는 $H$ 자신뿐이므로, $F=H$이고, 이로부터 $H’=G$. $F \equiv G$이므로 $H \equiv H’$.


[Induction Hypothesis] $F$를 subformula로 포함하고 있는 formula $H_{1}$, $H_{2}$에 대해 정리의 결론이 성립한다고 가정한다. $H_{1}$, $H_{2}$에서 등장하는 $F$를 $G$로 치환한 formula $H’_{1}$, $H’_{2}$에 대해, $H’_{1} \equiv H_{1}$, $H’_{2} \equiv H_{2}$이다.


[Main Proof] $H= \neg H_{1}$이라고 하자. 그러면 $H’= \neg H’_{1}$. $H’_{1} \equiv H_{1}$이므로, $\neg H’_{1} \equiv \neg H_{1}$. 따라서 $H \equiv H’$이다.

이제 $H$가 다음 중 하나라고 가정 : $H_{1} \wedge H_{2}$, $H_{1} \vee H_{2}$, $H_{1} \rightarrow H_{2}$, $H_{1} \leftrightarrow H_{2}$.

$F$가 $H$의 subformula이므로 $F$는 $H_{1}$의 subformula이거나, $H_{2}$의 subformula이거나, 혹은 $H$ 그 자체일 것이다. $F=H$이면 이는 atomic case와 같다. 따라서 $F$를 $G$로 치환하는 과정은 $H_{1}$ 또는 $H_{2}$ 내부에서 발생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WLOG, $H_{1}$에서 발생한다고 하자.

$H=H_{1} \wedge H_{2}$이면, $H’=H’_{1} \wedge H_{2}$이다. 이 경우 :

\[ \begin{align*} &H_{1} \wedge H_{2} \textrm{ is true iff} \\ &\textrm{both } H_{1} \textrm{ and } H_{2} \textrm{ are true iff} \\ &\textrm{both } H’_{1} \textrm{ and } H_{2} \textrm{ are true (since } H_{1} \equiv H’_{1} \textrm{) iff} \\ &H’_{1} \wedge H_{2} \textrm{ are true.} \end{align*}\]

따라서 $H_{1} \wedge H_{2} \equiv H’_{1} \wedge H_{2}$이다. $H=H_{1} \wedge H_{2}$이므로, $H \equiv H’$을 얻는다.

$H=H_{1} \vee H_{2}$이면, $H’=H’_{1} \vee H_{2}$이다. $\vee$의 정의에 의해, $H \equiv \neg (\neg H_{1} \wedge \neg H_{2})$이고 $H’ \equiv \neg (\neg H’_{1} \wedge \neg H_{2})$. 이제 이전 경우들 $(\neg, \wedge)$에 의해 $H \equiv H’$를 얻는다.

마찬가지로 $H=H_{1} \rightarrow H_{2}$, $H=H_{1} \leftrightarrow H_{2}$라고 가정했을 때도 이전 경우들을 이용하면 $H \equiv H’$를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F$를 subformula로 갖는 임의의 formula $H$에 대해 $H \equiv H’$가 성립한다. $\square$


사실, 위 정리의 $`` \equiv “$를 $`` \textrm{provably equivalent}”$로 대체해도 정리는 성립한다!



Theorem 1.5.5

$F$와 $G$가 provably equivalent라고 가정. $H$를 $F$를 subformula로 가지는 formula라고 하자.

$H$ 내에서 나타나는 $F$를 $G$로 치환해 얻어진 formula를 $H’$라고 하자. 그러면 $H$와 $H’$는 provably equivalent이다.


Proof.


Theorem 1.5.4와 비슷하다. $H$에 대한 induction on the complexity.

Induction hypothesis는 $H_{1}$과 $H’_{1}$이 provably equivalent, $H_{2}$와 $H’_{2}$이 provably equivalent.

이제 $H$와 $H’$이 provably equivalent가 되는 5가지 경우를 모두 입증하면 된다. Section 1.4의 Table을 이용하자.2 $\square$


Mathematical induction에서의 induction step은 $n=m$에서 문장이 참이라면 $n=m+1$에서도 참임을 보이는 것.

Induction on complexity에서의 induction step은 $\neg$, $\wedge$, $\vee$, $\rightarrow$, $\leftrightarrow$ 다섯 개로 구성. Theorem 1.5.4의 증명에서 보듯 $\vee$, $\rightarrow$, $\leftrightarrow$는 $\neg$, $\wedge$로부터 빠르게 보여진다. 이는 $\vee$, $\rightarrow$, $\leftrightarrow$가 $\neg$, $\wedge$의 용어로 정의되었기 때문. 이로부터 induction step의 다른 형태를 생각할 수 있겠다.


어떤 성질 $\mathcal{P}$가 모든 formula에 대해 성립함을 보이고 싶다. Induction on complexity에 따르면, 먼저 성질 $\mathcal{P}$가 모든 atomic formula에 대해 성립함을 보이고(base step), 상기 다섯 경우 대신 세 가지 경우만을 보인다(induction step). 먼저 $\mathcal{P}$가 동치 아래에서 보존됨을 보인다. 즉 만약 $F \equiv G$이고 $G$가 성질 $\mathcal{P}$를 가지면, $F$도 그러함을 보인다. 이것이 참이면, 남은 건 $\neg$, $\wedge$에 대해 생각하는 것 뿐. Propositional logic의 모든 formula는 $\neg$와 $\wedge$만을 사용한 어떤 formula와 동치이기 때문이다.

이 방법을 이용한 Induction on complexity는 다음 Section에서 쓰이게 된다.



  1. 예를 들어, propositional logic의 모든 sentence가 갖는 어떤 특정한 성질을 증명하고 싶을 때.

  2. Theorem 1.5.4와는 달리, 여기서는 의미론(semantics)를 사용했음에 유의.